3월과 4월 철근 가격이 동결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건설사들은 3월말부터 국내 제강사들에게 3월 판매분 철근 가격 인하를 요구해왔다.
3월말 까지만 해도 국내 철근 시장에서는 4월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감이 거셌다.
원자재인 철스크랩 가격이 바닥 수준으로 인식된데다 환율 하락 추세, 제강사 공장 가동률 상승, 중국의 철근 수출세 축소설 등 여러 가지 여건이 철근 가격 하락 분위기에 힘을 실어 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3월말부터 4월초 시장 분위기가 빠른 속도로 반전되면서 3월 철근 가격은 2월 수준으로 동결됐다.
국제 철스크랩 가격이 바닥을 찍고 반등을 보이기 시작했고 가장 큰 변수 였던 중국이 철근에 대해 수출세를 변경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수입재 대량 유입에 대한 우려감도 사그러들게 된 것.
이와 관련 국내 제강사들은 건설사들의 가격 인하 요청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게 됐고 3월 철근 가격은 2월 수준인 톤당 76만1,000원에서 동결됐다.
또한 관수 철근 계약이 조기에 완료되면서 제강사들의 가격 방어 노력은 더욱 힘을 얻게 됐다.
이에 따라 4월 철근 가격에 대해서도 별다른 변수가 보이지 않는 한 2,3월 가격이 유지될 것으로 시장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4월의 경우 철근 시장이 다양한 변수를 지니고 있는 만큼 좀더 시장을 관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율 및 철근 재고, 철스크랩 가격 변동 등이 급박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4월은 철근 시장에 변수가 유독 많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