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요구하고 있는 철근 공급 가격은 톤당 65만1,000원으로 8월 제강사들의 할인 축소 가격인 73만1,000원과는 큰 폭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최저 65만1,000원의 가격을 요구할 것이며 건설사별 제강사와 협상에 들어가되, 7월 마감 때와 같은 수준인 69만1,000원을 넘길 수 없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요구에 순응하는 제강사에는 다음달 구매물량을 집중하는 한편, 그렇지 못한 제강사에는 주문을 넣지 않겠다는 강수도 세워놓은 상태다.
아울러 9월에는 철저히 가수요를 줄여 제강사 재고량을 늘려나가고, 한국산업규격(KS) 인증을 획득한 중국·일본 제강사를 선택해 철근 직수입도 추진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국내외 철스크랩 가격 상승 영향으로 국내 제강사들은 2분기 대비 7∼8월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율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면서 수익성 악화를 호소하고 있는 상황.
철근 업계는 8월 톤당 4만원 할인 축소에 이어 9월에는 실질적인 할인 폐지와 함께 3만원 가량의 가격 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제강사들이 생각하는 철근 가격과 건설사들이 생각하는 철근 가격간 차이가 톤당 10만원 가량이나 벌어지면서 8월 판매분 제품에 대한 세금계산서 발행 및 수취 시기는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