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뉴스

[철판] 수입 열연과 수입 후판 상승세

관리자 0 10,211 2009.06.01 10:10

- 후판 8피트재 중심 소재 부족현상 발생
- 열연 가격 국내산 상승이후 수입재 상승 이어져


 


포스코의 가격이 인하됐는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일부 수입 유통재 역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하락세를 기록하던 후판의 경우도 가격대가 다시 상승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의 인하 발표로 유통 가격이 다소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타이트한 수급으로 수입 열연과 후판 가격도 상승세를 기록했다.

현대제철의 열연 가격이 18만원 인하되면서 t당 70만원으로 하락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가격대는 상승 안정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부 부도 확대와 과잉 경쟁에 따른 단가 인하에 비해 판매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지만, 수입재는 부족한 유입과 일부 사이즈 부족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 가격 인하 발표와 국내사 철강재의 유통 가격이 소폭 오를 경우 수입재도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오퍼가 워낙 적게 나오고 있어 다른 방향을 찾는 노력도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수입 오퍼 가격은 상승 중이다.

포스코 열연 가격이 70만원대 중반에서 안정되면 수입 열연이 소폭 상승할 여지가 생겼고 60만원 초반대 물량은 전부 사라진 상황이다.

수입 후판은 일부 1차 유통 업체에서 70만원 미만까지 하락한 이후 다시 일부 품귀 사이즈를 중심으로 소폭 상승 중이다.

수입 열연 가격대는 점차 60만원 초반대가 사라지고 중반대에 판매에 나서고 있으며 수입재는 전반적인 유입이 아직 적어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떨어지고 있으나 국내산제품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수입 후판 유통 가격 역시 70만원 미만 판매가 대부분 이지만 일부 사이즈를 중심으로 가격대가 상승 곡선을 타고 있다.

수입재는 달러화 약세와 함께 일부 업체들이 구매를 시도했으나 생각보다는 수익성이 나빠 추가적인 유입이 발생하지 못한 상황이다. 하지만 가격 상승이 발생하면서 추가적인 물량 유입 가능성은 크게 확대됐다.

특히 중국 쪽 오퍼가 줄어들면서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CIS 제품 등도 일부 유입되는 상황이다.

열연 1차 유통 가격의 경우 포스코재와 현대제철재가 비슷하고 수입재가 가장 싼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수입과 국내산의 가격 격차가 t당 5만원선을 넘어선 상황이다.

실제로 현대제철은 73~75만원, 포스코재 열연 유통 가격 역시 75~76만원 내외에 판매되는데 반해 중국산 열연 수입 유통 가격은 64~66만원 선에 판매되고 있다. 물론 현금과 대량물량일 경우 추가 할인이 가능하다.

수입 후판, 열연 오퍼 가격은 거의 나오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 중국산 수입 열연 오퍼 가격은 CNF 기준으로 460달러에 나온바 있다. 최근 본계철강에서 오퍼를 낼 것으로 보이는데 400달러 후반대로 예상된다.

중국산 강관용 열연과 재압연용 열연이 500달러대로 진입했다. 또한 러시아나 동남아, 호주, 뉴질랜드, CIS 등지의 물량도 일부 유입되고 있으며 가격대는 중국산보다 낮은 수준이다.

다만 최근 중국 내수 가격 상승으로 수입재 역시 추가적인 인상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수입재는 단가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후판 오퍼 가격은 CNF 기준으로 t당 470달러로 일부 나왔으며 최근 오퍼는 이보다 높은 수준에서 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일부 제품은 보륨이 포함된 제품이어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 가격 인하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장 상황이 안정되면서 단가 인상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나 생각보다는 파급효과나 폭은 낮은 수준이다.

수입 후판 유통 가격 역시 전주 t당 66만원에서 66~68만원선으로 소폭 상승했다. 일부 L판이 보다 2만원 정도 저렴한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다. 특히 보륨이 포함된 제품은 더 싼 가격대에도 나오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한때 열연과 후판 가격의 격추가 거의 없다시키 좁혀졌으나 최근 후판도 안정세를 찾고 있다\"며 \"하지만 전체적인 판매는 부진한 상황이고 일부 수입재로 쏠리는 구매 집중은 소재 부족이라는 악재를 만나고 있다\"고 말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