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의 원산지 및 강종 식별 표시가 강화되면서 국내 철근 제조업계 역시 발빠르게 새 개정안에 따른 표시를 적용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철근 낱개마다 원산지, 제조자, 호칭지름, 강종(일반철근, 고강도 철근, 용접철근 등)을 1.5m 이하의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표면에 양각 표시토록 한국산업표준(이하 KS)를 개정고시한 바 있다. 이 제도는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오는 6월 5일부터 전면 시행된다.
개정 전, KS철근에는 지름이나 제조사 등이 철근 한 부분에만 표시됐고 강종은 양쪽 끝부분에 페인트를 칠해 구별했다.
그동안 공사현장 등에서는 철근을 절단을 하게 되면 원산지와 강종 구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왔다.
즉, 유사표시의 저질 제품이 수입될 경우 KS 인증제품과 혼동될 우려가 상존해 있었다는 얘기다.
실제로 이를 악용, 수입산이 국산으로, SD300 강종이 SD400으로, 12㎜가 13㎜로 둔갑한 사례가 건설현장에서 자주 발생했다.
새 개정안에 따르면 롤링마크에 의한 식별이 가능해짐에 따라 각 제강사들은 기존의 철근 양 끝 단면에 칠하던 페인트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철근 태그에 강종 색깔을 추가했고 D4,D5,D6,D7,D8 등은 굵기 문제 등으로 단면도색에 의해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표시사항의 문제점 해결은 물론이고 강종 구분을 위한 페인트 도색 규정을 삭제함으로써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일반철근과 고강도 철근의 구분이 쉬워 고강도 철근 사용량이 늘고 공사시 단위면적당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철근 사용량이 줄어든 사용량 만큼 생산시 발생되는 CO2 감축은 물론, 공사기간 단축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주택 건설시 원가절감 뿐 아니라 시공성 개선 및 공기단축 등을 통해 연간 8천억원(연간 50만호 기준)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게다가 철근을 KS인증에 맞춰 가공한 후에는 원산지 표시도 확인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철근을 관리할 수 있어 철근 가공산업의 발전도 기대해 볼 수 있다.
기술표준원에서는 철근의 표시사항과 방법이 시행되는 6월 전까지 철근 제조사 뿐 만 아니라 철근 도소매상도 보유하고 있는 제고를 우선적으로 소진, KS 표시위반 제품의 판매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있다.
이번 개정안으로 정부와 업계에서는 KS 인증을 받지 못한 철근이나 기준에 미달하는 불량 철근의 유통 및 사용을 근절시켜 건설현장과 시설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중소업체의 경우 새 개정안에 맞춰 롤교체를 해야하는 경제적 부담 등에 따른 우려의 시각도 있지만 철근 제조업체와 업계는 대부분 이번 개정안이 철근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저품질, 저가의 중국산 제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철근 시장에 해외 철근업체의 잇단 KS획득 붐과 이번 철근 KS 개정 강화는 반가운 일이다.
더 이상 국내 철근 시장에 불량제품이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더욱 강화된 시스템 구축과 철근 제조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때다.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의 이익을 위해서 말이다.
이제 철근 시장에 대변화의 새 장이 열린다. 철근산업의 재도약은 결국 업계에 달려 있다. 최종적으로 어떻게 평가받을지는 순전히 제강사의 몫으로 남게 됐다.